변비 해결방법
과거에 저는 변비가 아주 심했던 적이 있습니다. 그 때문에 화장실 갈때마다 엄청 고생하고 화장실에 앉아 있는 시간은 점점 길어지고 변을 볼때마다 고통또한 장난아니었던 기억이 있네요 현재는 거의 해결됐습니다. 실제로 이런 변비의 경우 국내 인구의 약 16.5%가 겪고 있을 정도로 흔하다고 합니다.
변비란? - 대변을 볼 때 힘들어하거나 배변 횟수가 일주일에 3회 이하로 줄고 비정상적으로 변이 굳어 있는 경우 입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변비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변비 해결방법 다같이 알아봅시다.
변비 해결방법 1. 풍부한 식이섬유 섭취
변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식이섬유의 섭취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식이섬유의 경우 몸에 필요한 7대 영양소 중 하나로 대장 안의 유익균 비율을 늘리고 변의 양을 증가시키며 장 운동을 촉진해주어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도와줍니다.
변비 환자들에게도 식이섬유는 절대로 빠지지 않는 음식이며 과일,해조류,채소류에 식이섬유가 풍부합니다. 다만 식이섬유의 경우 체내 수분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어서 충분한 물과 함께 섭취하는것이 좋습니다.
*물론 식이섬유를 갑자기 너무 많이 먹어도 좋지 않은데요. 갑자기 양을 늘릴 경우 배에 가스가차서 부글거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유산균과 같은 요구르트,브로콜리,콩은 가스를 많이 만들기 때문에 식이섬유는 기존식이에서 천천히 늘려서 먹는것이 좋습니다.
변비 해결방법 2. 수분 섭취
변비 해결을 위해서는 꾸준한 수분을 섭취하는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저도 변비에 걸렸을때 하루에 적어도 2L의 수분은 섭취했는데요 수분과 식이섬유를 적당량 섭취해줄 경우 변비 해결에 큰 도움을 주기 때문이죠
그리고 수분을 뺏고 탈수를 유발하는 카페인,술과같은 음료들은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변비 해결방법 3.규칙적인 운동하기
오래 앉아있는 경우 변비에 걸리기 쉽다는것은 다들 알고 계시는 내용일겁니다. 평소에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면 장 운동이 둔화되며 장이 대변을 바깥으로 밀어내는 힘이 약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변비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운동부족이 변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병상에 오래 누워있는 사람, 나이가 들어서 거동이 불편한 노인의 경우에도 변비가 흔하게 나타납니다.
하루에 30분정도의 꾸준한 유산소 운동,걷기,자전가타기,수영 등을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변비 해결방법 4. 올바른 배변습관
변이 마려울때 참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중요한 업무가 있어서 혹은 습관적으로 변을 참고 나중에 화장실을 가는 사람이 있는데 이는 좋지 못한 습관입니다.
변은 참으면 참을수록 더욱 단단해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증상이 더욱 심해지게 되는데요 변이 마려운 증상을 계속 참게되면 변은 직장에 머무는것이 아닌 대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변은 상당한 수분을 빼앗기게 되고 변이 딱딱해지게되어 막상 변을 눌때 변을보기가 힘들어집니다.
또한 화장실에 스마트폰을 가져가 오랫동안 변기에 앉아있는 습관도 변비에 좋지 못한 습관이므로 개선하는것이 좋습니다.
변비 해결방법 5. 스트레스성 변비 관리
변비는 스트레스로 인해서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소화기관이 운동을 멈추고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며 소화가 잘 안되게 됩니다. 잦은 소화불량은 변비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스트레스를 잘 관리해주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렇게 변비 해결방법 핵심 5가지를 알아봤습니다. 사실 위의 방법만 잘 지켜도 변비는 쉽게 해결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변비를 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데요
변비가 만성으로 가게 될 경우 노폐물을 배출하는데에 문제가 생기거나 소화기능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으며 염증,치질,장폐색,직장 궤양 드물지만 대장암까지 발병할 수 있으므로 절때 방치해서는 안됍니다.
많은 사람들이 봤던 콘텐츠
'생활 꿀팁! > 건강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장이 안좋으면 나타나는 증상 몇가지 (0) | 2020.12.04 |
---|---|
마그네슘 부족현상 알아보자 (0) | 2020.12.03 |
산수유 먹는법 이렇게 (0) | 2020.12.01 |
중성지방 낮추는 방법 (0) | 2020.12.01 |
담적병 증상 (0) | 2020.12.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