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건강 꿀팁

통풍 증상 알아보기

by 성공공략 2020. 12. 11.

통풍 증상

통풍은 과거 풍족한 생활을 하며 앉아있는 시간이 많은 왕들이 잘 걸리는 병 중 하나였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회식 문화가 익숙한 중장년층에게서 발병률이 높은편이었는데 최근에는 서구화된 식습관 때문에 젊은 연령에도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는 병입니다.

통풍 증상

그러므로 요즘은 통풍이 특정 연령층에만 국한되어있지 않으며 현대에는 과거와 다르게 생활이 풍족해졌기 때문에 더이상 왕과 같은 높은 계층의 병이 아닌 보통 사람들도 많이 걸리는 병이므로 통풍이 왕들의 병이라는것은 옛말이 되었습니다.

 

오늘 이시간에는 통풍 증상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통풍 증상 과도한 음식의 섭취로 인해

통풍이 걸리는 이유는 과도한 음식의 섭취로 인한 체중 증가, 음식에 들어있는 '퓨린 물질'의 대사물인 '요산'이 몸안에 과도하게 쌓여서 통풍이 발생하게 됩니다. 요산이 우리몸에 잘 배출되지 못하고 몸안에 너무 많이 만들어지면 관절 혹은 관절 주변에 날카로운 결정들을 만들어 그 결정이 관절이나 관절 주변에 염증을 일으키고 결국 통증과 관절이 붓는 증상이 생기게 됩니다.

 

통풍 증상
통풍 증상

통풍 증상은 보통 관절에 주로 생기지만 통풍으로 인한 합병증은 전신에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고혈압,당뇨,심장병,뇌졸중과 같은 질병이 생길 수 있으므로 관리가 정말 중요합니다.

 

통풍 증상 초기 고요산혈증과 급성 통풍성 관절염(통풍 발작)

통풍 증상
통풍 증상

초기에는 무증상 고요산혈증이 나타나곤 합니다. 이는 혈중 요산 수치는 높게 측정되지만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여기서 더 진행된다면 엄지발가락, 무릎, 발목 관절에 한 두마디 정도 아프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통증이 가라앉다가 재발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통증은 대부분 잠들기 전 밤에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통풍이 생긴 관절은 염증으로 열이나거나 부어오르거나 붉게 변할 수 있습니다.

 

특이한점은 이러한 증상이 일주일 내로 완화되었다가 다시 반복하는 것을 반복한다는것이며 완화되는 시기에 완치되었다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통풍의 경우 완치가 없으며 발작기와 잠복기가 반복되기 때문에 방심하면 안됩니다. 

통풍 증상
통풍 증상

만약 무증상에서 발작으로 넘어가는 증상을 방치할 경우 여러 관절에서 발작이 나타나며 엄청난 통증을 수반하는 만성 통풍을 초래할 수있습니다. 즉 통풍 증상은 무증상 단계부터 세심한 관리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실제로 통풍 발작 경험자의 1년 이내 재발률은 60%이며 2년 이내 재발할 확률은 78%라고 합니다. 발작이 한번이라도 있었다면 증상이 없는 기간에도 방치하면 안되며 꼭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만성 결절성 통풍 증상

통풍 증상
통풍 증상

통풍 발작이 반복될 경우 통풍 결절이 나타나 손과 발쪽에 침범해 관절을 파괴하는 파괴성 관절병증과 만성 2차성 골관절염을 야기합니다. 급성 통풍 관절염을 관리를 잘 못하거나 방치할 경우 통풍은 만성 결정성 통풍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통풍 예방법

통풍 증상
통풍 증상

통풍 증상은 결국 요산 과다 생성이나 요산의 배출 감소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과음 , 과식을 피해야 하며

규칙적인 운동을 해주는것이 중요하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해주는것이 좋으며

하루에 2L 이상 물을 마셔 이뇨작용으로 요산이 잘 배출될 수 있게 해줘야 통풍의 예방에 좋습니다.

 

그리고 퓨린이 많은 음식또한 피해주어야 합니다. 닭고기,돼지고기,소고기 등과 내장,간쪽을 비롯한 동물 내장에 퓨린이 많으며 새우젓,맥주에도 RNA와 DNA 퓨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음식을 오래 섭취할 경우 요산이 많아질 수 있으므로 피하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통풍에 좋은 음식은 쌀,보리,밀,감자,메밀,고구마,저지방 우유 등이 좋다고 하니 주기적으로 섭취하면 통풍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봤던 콘텐츠

 

 

'생활 꿀팁! > 건강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갱년기 증상 알아봐요  (0) 2020.12.13
직장암 증상 원인  (0) 2020.12.11
가슴 통증 원인 총정리  (0) 2020.12.09
고지혈증 증상 이것  (0) 2020.12.09
고혈압 증상  (0) 2020.12.09

댓글